30
OUR TOWN-아주 보통의 하루
3월15일 - 5월 11일 ( 토,일,공휴일 3시 )
<p><strong style="color: rgb(230, 0, 0);">'아주 보통의 하루</strong><strong>'</strong><strong style="color: rgb(0, 102, 204);">가 특별해 지는 순간, 소중한 사람과</strong><strong style="color: rgb(0, 71, 178);"> 소중한 시간</strong></p><p><strong style="color: rgb(204, 224, 245);">당신의 오늘이 특별한 이유. </strong><strong style="color: rgb(230, 0, 0);"> 퓰리쳐상 수상작</strong></p><p><br></p><p>출연 일정이 추가되었습니다!</p><p><span style="color: rgb(0, 71, 178);"> </span></p><p>(*4월5일, 6일, 5월5일 공연없음, )</p><p><span style="color: rgb(0, 102, 204);">*10분간 인터미션이 있습니다. </span></p><p><br></p><p><a href="https://booking.naver.com/booking/12/bizes/1233897/items/6569711/?preview=1&startDateTime=2025-03-05T00%3A00%3A00%2B09%3A00" target="_blank" class="ql-size-large" style="color: rgb(255, 255, 255); background-color: rgb(102, 185, 102);">네이버에서 예약하기</a></p><p><br></p><p><img src="/upload_file_path/1743046891740_file.jpg"></p><p><img src="/upload_file_path/1741542639308_file.jpg"></p><p><img src="/upload_file_path/1741160635578_file.jpg"></p><p><strong style="color: rgb(55, 58, 60);"></strong></p><p><br></p><p><strong style="color: rgb(55, 58, 60);">원제 : Our Town - </strong></p><p><strong style="color: rgb(55, 58, 60);">"아주 보통의 하루"</strong></p><p><br></p><p><img src="https://adapter.theater/upload_file_path/1643904386247_file.jpg"> <img src="https://adapter.theater/upload_file_path/1649259976264_file.jpg"></p><p><br></p><p><span style="color: rgb(55, 58, 60);">1938년 미국의 작가 쏜톤 와일더(Thornton Wilder)가 쓴 3막짜리 희곡원본 표지와 </span></p><p><span style="color: rgb(55, 58, 60);">1953년 1월 타임지 표지에 손톤와일드 </span></p><p><br></p><h2><strong><em>Our Town </em></strong></h2><h2><strong><em> </em></strong></h2><h3><strong><em>1, "우리는 일상의 아름다움을 놓치고 있는가?"</em></strong></h3><p>Our Town의 핵심 메시지는 "현재를 살아라"이다. 스마트폰과 SNS에 빠져 살아가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 우리는 정말 중요한 순간들을 놓치고 있는 건 아닐까? 에밀리가 죽은 뒤 과거로 돌아가 평범한 하루를 다시 살면서 "세상이 이렇게 아름다웠어?"라고 외치는 장면은 현대 한국 관객들에게도 강력한 울림을 준다.</p><p> </p><h3><strong><em>2, "가족과의 관계를 돌아보라"</em></strong></h3><p>한국 사회는 바쁜 삶과 경쟁 속에서 가족 간 대화가 줄어들고 있다. Our Town은 가족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더 자주, 더 진심으로 말하라는 메시지를 준다. "엄마, 나 사랑해?"라는 질문을 마지막으로 던지는 에밀리의 모습은 우리도 가족과 나눠야 할 질문이다.</p><p> </p><h3><strong><em>3, "지역 사회와 공동체의 의미"</em></strong></h3><p>Our Town의 배경인 그로버스 코너스는 작은 마을이지만, 그 속에서 사람들이 서로 돕고 살아간다. 빠르게 변화하는 한국 사회에서 공동체의 의미는 점점 흐려지고 있지만, 이 연극은 우리가 함께 살아가는 사회라는 것을 다시 상기시켜 준다.</p><p> </p><h3><strong><em>4"죽음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em></strong></h3><p>한국 사회에서는 죽음에 대한 논의가 여전히 조심스럽다. 하지만 Our Town은 죽음을 두려워하기보다는, 그것을 통해 삶의 가치를 되새기도록 한다. 2024년 한국에서도 죽음과 장례문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만큼, 이 연극이 던지는 "죽음을 통해 삶을 더욱 소중히 하라"는 메시지는 더욱 의미가 크다.</p><p> </p><h3><strong><em>5 "과연 행복이란 무엇인가?"</em></strong></h3><p>2024년 한국 사회에서 행복은 높은 연봉, 좋은 집, 사회적 성공으로 정의되곤 한다. 하지만 Our Town은 행복이란 그런 외적인 요소가 아니라, 아침 햇살을 맞으며 일어나고, 사랑하는 사람과 식사를 하고, 별을 바라보는 순간들 속에 있음을 깨닫게 해준다.</p><p> </p><p><br></p><h3><strong><em>Our Town은 1938년에 쓰였지만, 2025년 한국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우리의 삶은 "지금 이 순간"이며, 가족, 친구, 그리고 사소한 순간들이야말로 우리가 소중히 여겨야 할 것들이다. 현대 한국 사회에서 Our Town은 우리가 진정으로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게 만드는 연극이다.</em></strong></h3><p><br></p><p><img src="https://adapter.theater/upload_file_path/1649260810693_file.jpg"></p><p>전세계에서 공연된 < 우리읍내 > 포스터이미지</p><p><br></p><p><br></p><h2><strong><em>희곡 Our Town에 관한 흥미로운 에피소드들</em></strong></h2><p> </p><h3>1, "무대장치가 없다고?" - 당시 연극계의 충격</h3><p>Our Town은 1938년 초연될 때 무대장치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연출로 큰 충격을 주었다. 당시 브로드웨이 연극들은 화려한 무대 세트와 정교한 조명을 필수적으로 여겼지만, Our Town은 단순한 나무 의자와 테이블, 그리고 배우들의 상상력에 의존했다. 심지어 연출가가 초연 당시 무대디자이너와 논쟁을 벌이며 "이 연극엔 세트가 필요 없어!"라고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p><p> </p><h3><strong><em>2, 중국에서 검열된 공연</em></strong></h3><p>Our Town은 보편적인 삶과 죽음의 메시지를 담고 있지만, 20세기 중반 중국에서는 일부 검열을 받았다. 극 중 등장하는 삶과 죽음, 그리고 자유로운 개인의 선택에 대한 내용이 당시 정치적 분위기와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후 중국에서도 Our Town은 중요한 현대 희곡으로 인정받아 공연되었다.</p><p> </p><h3><strong><em>3, NASA에서도 사랑받은 작품</em></strong></h3><p>Our Town은 NASA의 우주비행사들에게도 영감을 준 작품이다. 1989년, 우주비행사 스토리 머스그레이브(Story Musgrave)는 인터뷰에서 이 연극이 우리가 사는 순간을 소중히 여기는 법을 가르쳐 주었다고 밝혔다. 실제로 그는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보며 "지금 이 순간을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깨달았다고 말했다.</p><p> </p><h3><strong><em>4, 미국 대통령도 감동한 연극</em></strong></h3><p>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은 한 인터뷰에서 젊은 시절 Our Town을 보고 큰 감동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 연극이 일상의 순간을 소중히 여기고,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애정을 표현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해주었다고 밝혔다.</p><p> </p><h3><strong><em>5, 2002년 폴 뉴먼의 전설적인 무대 감독 연기</em></strong></h3><p>배우 폴 뉴먼(Paul Newman)은 2002년, 77세의 나이에 Our Town의 무대감독 역을 맡아 브로드웨이에서 열연했다. 그의 감동적인 연기는 큰 찬사를 받았고, PBS에서 공연이 생중계되기도 했다. 이 무대는 뉴먼의 마지막 연극 공연 중 하나였으며, 이후 그는 연극 무대에서 은퇴했다.</p><p> </p><p><br></p><p><br></p><p><br></p><p><br></p><p><img src="https://adapter.theater/upload_file_path/1643904402339_file.jpg"></p><p><br></p><p><span style="color: rgb(55, 58, 60);">1938년 1월 22일 뉴저지 프린스턴의 </span><a href="https://en.wikipedia.org/wiki/McCarter_Theatre" target="_blank" style="color: rgb(6, 69, 173);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맥카터 극장</a><span style="color: rgb(55, 58, 60);">(McCarter Theatre)에서 초연되었다.</span></p><p><br></p><p>손턴 와일더(Samuel Thornton Wilder)는 *Our Town (우리 읍내)*을 통해 단순한 소도시의 삶을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strong>보편적인 인간의 삶과 죽음,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대한 철학적 성찰</strong>을 담아냈다. 그는 이 작품을 통해 관객들이 <strong>일상의 순간을 더욱 깊이 음미하고, 살아있는 동안 삶의 소중함을 깨닫기를 바랐다.</strong></p><p><br></p><h3><strong>1. 와일더가 희곡 <em>Our Town</em>에 담은 철학과 애정</strong></h3><ul><li>와일더는 삶의 본질을 전달하기 위해 <strong>연극 형식 자체를 실험적으로 활용</strong>했다. 무대장치를 최소화하고, 무대감독(Stage Manager)이라는 해설자가 직접 관객과 소통하게 함으로써, <strong>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감상</strong>을 가능하게 했다.</li><li>그는 마을의 일상을 세밀하게 그리면서도, 단순히 한 마을의 이야기가 아닌, <strong>모든 인간에게 적용되는 보편적인 이야기</strong>를 만들고 싶어 했다.</li><li>와일더는 한 인터뷰에서 <em>Our Town</em>에 대해 **“이 연극은 한 마을에 대한 것이 아니라, 이 지구 전체에 대한 이야기”**라고 말한 바 있다. 그는 마을을 배경으로 하지만, 궁극적으로 인류 보편적인 경험을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li></ul><h3><br></h3><h3><strong>2. 와일더의 <em>Our Town</em>에 대한 평가와 자부심</strong></h3><ul><li><em>Our Town</em>은 1938년 초연 당시부터 평론가들 사이에서 **“단순하지만 심오한 작품”**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퓰리처상을 수상한 것도 그 가치를 인정받은 증거다.</li><li>와일더는 작품의 미니멀리즘과 형식적 실험이 당시에는 다소 생소하게 받아들여질 것을 알았지만, 그것이 <strong>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을 연극의 본질을 담은 방식</strong>이라고 믿었다.</li><li>그는 자신이 쓴 작품들 중에서도 <em>Our Town</em>을 특히 아꼈으며, <strong>사람들이 이 작품을 보고 자신의 삶을 돌아볼 수 있기를 바랐다.</strong></li></ul><h3><br></h3><h3><strong>3. 와일더가 바랐던 <em>Our Town</em>의 미래와 유산</strong></h3><ul><li>와일더는 <em>Our Town</em>이 단순한 고전 작품이 아니라, <strong>시대와 장소를 초월해 지속적으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작품</strong>으로 남기를 원했다.</li><li>그는 이 연극이 “브로드웨이의 화려한 프로덕션 없이도, 학교 강당에서든 작은 소극장에서든 어디서든 쉽게 공연될 수 있는 작품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는 오늘날 <em>Our Town</em>이 전 세계에서 꾸준히 공연되는 이유 중 하나다.</li><li>그는 <em>Our Town</em>이 단순히 과거를 회상하는 작품이 아니라, <strong>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계속해서 삶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작품이 되기를 희망했다.</strong></li></ul><h3><br></h3><h3><strong>와일더가 꿈꾼 <em>Our Town </em></strong></h3><p>손턴 와일더는 <em>Our Town</em>을 통해 단순한 일상의 순간들이 사실은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임을 보여주려 했다. 그는 이 작품을 통해 <strong>관객들이 "현재의 순간을 충분히 살아가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스스로 던질 수 있기를 바랐다.</strong> 그리고 그는 연극이라는 장르가 이러한 철학적 성찰을 전달할 수 있는 강력한 매체라고 믿었다.</p><p>결국, 와일더가 바랐던 것처럼 <em>Our Town</em>은 시대를 넘어 여전히 사랑받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재해석되며 현대 관객들에게도 깊은 울림을 주고 있다.</p><p><br></p><p><br></p><p><br></p><p><br></p><p><br></p><p><img src="https://adapter.theater/upload_file_path/1649259052551_file.jpg"></p><h4><strong style="color: rgb(55, 58, 60);">쏜톤 와일더(Thornton Wilder)</strong></h4><p><br></p><blockquote>손톤 니븐 와일더(Tornton Niven Wilder, 1897년 4월 17일 ~ 1975년 12월 7일)는 미국의 극작가 겸 소설가였다.그는 소설 '산 루이스 레이의 다리', 연극 '우리 마을'과 '우리 치아의 피부'로 세 개의 퓰리처 상을 수상했으며 소설 '제8일'로 미국 국립도서상을 수상했다.</blockquote><p><br></p><p><br></p><h3><strong><em>1938년 퓰리처상 수상</em></strong></h3><p>우리 읍내는 1938년 초연된 후 같은 해 퓰리처상을 수상하며 그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p><p>EN.WIKIPEDIA.ORG</p><p><br></p><p><br></p><h3><strong><em>폴 뉴먼의 마지막 무대</em></strong></h3><p>2002년, 배우 폴 뉴먼(Paul Newman)은 브로드웨이에서 무대감독 역을 맡아 열연했습니다. 이 공연은 그의 마지막 무대 출연으로 기록되었으며, PBS를 통해 방영되었습니다.</p><p>BROADWAYSBESTSHOWS.COM</p><p><br></p><p><br></p><h3><strong><em>최장기 브로드웨이 공연</em></strong></h3><p>2009년, 데이비드 크로머(David Cromer) 연출의 오프브로드웨이 공연은 644회에 달하는 최장기 연극공연 기록을 세웠으며, 2024년 브로드웨이에서 또 다시 상연되었다.</p><p>EN.WIKIPEDIA.ORG</p><p><br></p><p><br></p><p><img src="https://adapter.theater/upload_file_path/1649259336923_file.jpg"></p><p>위스콘신 메이플 블러프에 있는 가족 별장에서 그의 형제 2명과 그들의 아버지 아모스와 함께 있는 손톤와일드 (1900년)</p><p><br></p><p><br></p><p>줄거리</p><p>< <strong style="color: rgb(55, 58, 60);">Our Town - 아주 보통의 하루</strong> ></p><p>Our Town – 아주 보통의 하루“ 줄거리</p><p>이 연극은 우리가 살아가는 작은 마을에서 벌어지는 일상을 세 개의 막으로 나누어 보여준다.</p><p><br></p><h3><strong><em>1막: 일상 (Daily Life)</em></strong></h3><p>1988년, 동네 사람들의 평범한 하루가 펼쳐진다.</p><p>마을 사람들은 단순하고 조용한 일상을 살아가지만, 연극은 이러한 순간들이 사실은 소중한 것임을 암시한다.</p><p><br></p><h3><strong><em>2막: 사랑과 결혼 (Love and Marriage)</em></strong></h3><p>1993년, 아이들이 성인이 되어 서로 사랑에 빠진다.</p><p>두 사람은 과거를 회상하며 자신들이 언제부터 서로에게 특별한 감정을 가졌는지를 이야기한다.</p><p>두 가정은 결혼을 앞둔 두 사람을 축하하지만, 결혼식 당일 신랑과 신랑은 긴장하고, 신부는 두려움을 느끼지만, 두 사람은 결혼식을 올리고, 마을 사람들은 이를 축하하며 일상은 계속된다.</p><p><br></p><h3><strong><em>3막: 죽음과 영원 (Death and Eternity)</em></strong></h3><p>2002년, 몇 년이 지나 부모님에게는 딸이고, 남편에게는 아내이며, 시부모에게는 며느리인 그녀가 아이를 낳다가 세상을 떠난다.</p><p>그녀는 과거의 삶이 얼마나 소중했는지 깨닫고, 생전의 한 순간(자신의 12번째 생일)을 다시 경험하려 한다.</p><p>그러나 너무나도 빨리 지나가 버리는 삶의 순간들을 보고, 살아있는 사람들이 일상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음을 슬퍼한다.</p><p><br></p><p><br></p><p>OUR TOWN - 아주 보통의 하루</p><p>< 개인포스터 가안 ></p><p>*포스터 디자인 과정입니다. 참고 바랍니다.</p><p><br></p><p><br></p><p><br></p><p><br></p><p>안내</p><h3>*좌석배치는 'ㄷ' 형태로 현장 지정 좌석입니다.</h3><h3>*티켓수령과 입장은 공연20분전부터 진행됩니다.</h3><h3><br></h3><p><br></p>